열기 닫기
닫기
사이버書堂 | 사이버서원

고객센터 > 자유게시판

>고객센터>자유게시판
  • 사이트 이용중 불편사항이나 질문은 반드시 묻고 답하기 게시판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바로가기]
  • 성격이 맞지 않는 글은 모두 해당 게시판으로 사전 공지없이 이동될 수 있습니다.

게시판 읽기
첩경 맹자직해 구절 해석 질문입니다.
작성 수박1통 글정보 Hit : 262, Date : 2019/11/27 17:04 (ip : 203.232.19.*)
아래는 첩경 맹자직해 - 양혜왕 상 - 2장 3절 속 구절입니다.

詩云 經始靈臺하여 (후략)
시경(詩)에 이르길(云), '영대(靈臺)를 공사(經)하기 시작(始)하여, (후략)

經始靈臺를 분석해보면,
이 문장은 '시작하다始'라는 술어1과 '영대靈臺를 공사經하는 것'이라는 목적어절1, 그리고 생략된 주어1(영대를 공사하기 시작하는 주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목적어절1(經)+술어1(始)이라는 어순을 가진 문장입니다.
(질문의 요지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 '목적어절 1속의 영대'는 뺐습니다. 이 문장에서나 목적어절1의 동사 經이 하필 우연히 타동사라서 '영대'라는 목적어를 안은 것뿐이지, 經이 아닌 자동사였다면 목적어 '영대'를 가지지 않을 테니까요.)

이 때, 한문 기본 문장구조 '주어+술어+목적어'에 따르면, '목적어+술어'라는 어순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상기해보면,

經始靈臺하여 (후략)는 목적어+술어라는 잘못된 어순으로 된 문장이 아닌가?라는 의문이 듭니다.

물론, 실제로 위 구절이 틀릴 리는 없겠지만, 제가 갖고 있는 한문 지식으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지곤
    2020/01/07 11:25
    의견입니다. '經始靈臺:영대(靈臺)를 공사(經)하기 시작(始)하다'로 흔히 풀이합니다. 經始는 경영(공사)하기 시작하다는 의미를 가진 서술어로 보고 靈臺를 목적어로 보아 단순히 서술어+목적어의 구조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또한  '목적어+서술어'라는 어순은 불가능하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한문에서는 매우 많은 빈도로 목적어가 서술어의 앞에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피동형의 문장을 능동형으로 풀이한 경우이거나 강조를 위해 도치된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사서독해첩경 교재 140p 도치와 피동 설명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될듯합니다.
    사서첩경 설명 내용
    一羽之不擧를 ‘깃털 하나를 들지 못하다(목적어+之(을/를)+서술어)’의 도
    치로 풀이하였으나, ‘깃털 하나가 들리지 못하다’의 피동으로 풀이가 가능한데,
    문장 풀이시 주어에 따라 결정된다. 輿薪之不見도 같다.
    또 百姓之不見保에만 피동의 見이 있는데, 一羽之不擧는 대상이 사물인 경
    우이고 百姓之不見保는 대상이 사람인 경우이다. 이 문장에 만약 見이 없다면
    ‘백성이 보호하지 못하다’로 객체가 바뀔 수 있는데, 見이 있어 피동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등록자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