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몽요결(擊蒙要訣)은 퇴계 이황과 함께 조선조 성리학의 쌍벽이라 일컬어지는 율곡 이이가 집필한 저술입니다. 특히 이 책은 충실한 내용과 완성도높은 체제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성리학 지침서로서 손색이 없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배우는 자들은 반드시 성현이 되겠다는 뜻을 세워야 한다는 입지장(立志章),나쁜 습관을 버려야 한다는 혁구습장(革舊習章), 올바른 몸가짐을 강조한 지신장(持身章), 책을 읽는 방법을 논의한 독서장(讀書章), 어버이 섬기는 도리를 논한 사친장(事親章) 등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학문의 목적부터 구체적인 방법과 실천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논의하고 있어 조선조 내내 초학자들의 필독서로 여겨져 왔습니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에서 조선 선조 때의 문인이자 연암 박지원의 오대조인 분서 박미의 시와 산문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논문으로「분서 박미의 삶과 문학적 지향」「박미 산문의 일화중심적 서술에 대하여」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는『동유첩』(공역/성균관대 출판부)『채근담』(서책)등이 있다.
현재 성균관대, 안동대 등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전통문화연구회에서는 주로 기초한문과 사서를 강의하고 있는 인기강사이다.
1-1 강 | ![]() |
41분 56초 |
수강
-
![]() |
1-2 강 | ![]() |
45분 25초 |
수강
-
![]() |
1-3 강 | ![]() |
29분 52초 |
수강
-
![]() |
2-1 강 | ![]() |
20분 46초 |
수강
-
![]() |
2-2 강 | ![]() |
20분 32초 |
수강
-
![]() |
2-3 강 | ![]() |
16분 47초 |
수강
-
![]() |
2-4 강 | ![]() |
45분 44초 |
수강
-
![]() |
2-5 강 | ![]() |
32분 43초 |
수강
-
![]() |
3-1 강 | ![]() |
26분 48초 |
수강
-
![]() |
3-2 강 | ![]() |
23분 18초 |
수강
-
![]() |
3-3 강 | ![]() |
34분 20초 |
수강
-
![]() |
3-4 강 | ![]() |
38분 36초 |
수강
-
![]() |
4-1 강 | ![]() |
27분 12초 |
수강
-
![]() |
4-2 강 | ![]() |
32분 34초 |
수강
-
![]() |
4-3 강 | ![]() |
35분 08초 |
수강
-
![]() |
4-4 강 | ![]() |
35분 28초 |
수강
-
![]() |
5-1 강 | ![]() |
36분 24초 |
수강
-
![]() |
5-2 강 | ![]() |
34분 10초 |
수강
-
![]() |
5-3 강 | ![]() |
32분 54초 |
수강
-
![]() |
5-4 강 | ![]() |
35분 37초 |
수강
-
![]() |
6-1 강 | ![]() |
26분 15초 |
수강
-
![]() |
6-2 강 | ![]() |
20분 11초 |
수강
-
![]() |
6-3 강 | ![]() |
27분 15초 |
수강
-
![]() |
6-4 강 | ![]() |
24분 34초 |
수강
-
![]() |
6-5 강 | ![]() |
18분 55초 |
수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