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子曰 回之爲人也 擇乎中庸하여 得一善이면 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니라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회(顔回)의 사람됨은 중용을 택하여 한 가지 선(善)을 얻으면, 잘 받들어서 가슴속에 새기고 잃지 않았다.”
|
축자직해 정보(Verbal Translation & etc.)
기본토 | 다른토 (H)
-
자
스승 자 공자(孔子)
ㅣ
-
2
왈
말할 왈 말하다, 일컫다
。
-
회
돌아올 회 인명(人名)
-
2
지
어조사 지 ~의/하는
-
위
될 위 되다, 이다
-
4
인
사람 인 사람
-
5
야
어조사 야 ~은/는, ~이/가
ㅣ
ㅣ
。
-
4
택
가릴 택 가리다, 선택하다, 고르다
-
3
호
어조사 호 ~을/를
-
중
가운데 중 중(中)
-
2
용
떳떳할 용 용(庸)
야
야
。
-
3
득
얻을 득 얻다
-
1
일
한 일 하나
-
선
착할 선 선(善)
이면
。
-
1
즉
면 즉 ~이/하면, ~라도
-
권
사랑 권 사랑하는 모양
-
3
권
사랑 권 사랑하는 모양
-
5
복
지닐 복 지니다, 갖다
-
4
응
가슴 응 가슴
-
6
이
말 이을 이 [계속]~하여, ~해서, 그래서
-
9
불
아니 불 ~않다
-
8
실
잃을 실 잃다
-
7
지
그것 지 그, 그것
-
10
의
어조사 의 ~이다
니라
니라
|
|
-
공자가
子
-
말하였다.
曰
-
“안회(顔回)
回
-
의
之
-
사람됨
爲人
-
은,
也
-
중용
中庸
-
을
乎
-
선택해서
擇
-
한 가지
一
-
선을
善
-
얻으
得
-
면,
則
-
잘 받들어
拳拳
-
가슴에
膺
-
지니
服
-
고서
而
-
그 선을
之
-
잃지
失
-
않
弗
-
았다.”
矣
|
한자수준 :
子曰回之爲人也擇乎中庸得一善則拳拳服膺而弗失之矣
중학900고교9001800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