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명
    순번 도서명 열기 제작
    1 漢文독해기본패턴(25개정)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 [新編]四字小學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3 四字小學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4 [新編]推句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5 推句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6 [新編]明心寶鑑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7 明心寶鑑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8 啓蒙篇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9 童蒙先習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0 [新編]擊蒙要訣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1 原文故事成語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2 註解千子文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3 小學集註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4 四書讀解倢徑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5 大學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6 論語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7 孟子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8 中庸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19 漢文讀解捷徑 文學篇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0 漢文讀解捷經 史學篇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1 漢文讀解捷徑 哲學篇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2 古文眞寶後集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3 [原本]明心寶鑑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4 詩經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5 書經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6 周易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7 三國遺事 검색전용 열기 전통문화연구회
    28 [新編]唐音註解選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29 [註解]五言七言唐音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30 通鑑節要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31 古文眞寶前集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32 史記本紀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33 史記世家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34 史記列傳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35 三國史記本紀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36 三國史記雜志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37 三國史記列傳 검색전용 준비중 전통문화연구회
  • 최근 토론
    토론내용 문장/일시
    이 문장이 갑자기 여기에 나오는 이유는 뭘까요? 論語: 誠不以富 亦
    2024-12-20
    깔 자의 네이버 사전 10번째 뜻인 '갈다, 경작하다 자'일 듯합니다! 孟子: 夏后氏五十而
    2024-08-08
    수정하였습니다. 論語: 君子篤於親
    2024-05-28
    'A爲B'를 'A는 B이다'로 풀이하여 '할 수 있[能]다[爲].'로 정리하였습니다. 孟子: 孟子曰 人不
    2024-03-13
    아래 Null 이라고 뜹니다. 論語: 君子篤於親
    2023-09-17
    언해에는 류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선 류를 따른 거구요. 둘 다 허용되라라 생각됩니다. 孟子: 蓋上世 嘗有
    2023-08-24
    네. 맞습니다. 본 원문의 주석을 보면 元은 於時爲春이요 於人爲仁이며 亨은 於時爲夏요 於人爲禮며 利는 於時爲秋요 於人爲義며 貞은 於時爲冬이요 於人爲智니라 라고 하였습니다. 小學: 元亨利貞天道
    2023-05-18
    원형이정이 봄여름가을겨울이기도 하고 인의예지이기도 해석이 되기도 하나요? 小學: 元亨利貞天道
    2023-04-12
    보완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孟子: 孟子謂萬章曰
    2023-03-23
    만장하 8장1절 학습도구 듣기/읽기 없습니다 孟子: 孟子謂萬章曰
    2023-02-12
    공손추상 에서,기본학습도구/듣기 범위를 편으로 선택후 "편 전체를 듣기" 할때, 편의 중간부분부터 보이는문장과 음성이 틀리고 있습니다 孟子: 或問乎曾西曰
    2023-01-29
    양혜왕상 에서 기본학습도구/듣기 범위를 편으로 선택후 "편 전체를 듣기" 할때 편의 중간부분부터 보이는문장과 음성이 틀리고 있습니다. [추신] 유익한 컨텐츠구축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孟子: 孟子見梁惠王
    2023-01-29
    원문 및 의역에서 '장자'가 '광장'으로 표기되어 검토 요망합니다. 孟子: 夫章子 豈不
    2023-01-28
    "향전에 우물을 함께하는 사람이 : 마을의 정전을 함께하는 사람이 " 듣기 읽기에 검토요 孟子: 死徙無出鄕
    2023-01-24
    "군자의 말은 띠까지 내려가지 않아도 도(道)가 거기에 있으며" : 994/1021 하단으로 배치하여야 함을 검토요망합니다. 孟子: 君子之守 修
    2023-01-15
    듣기/읽기 및 직해를 형수로 통일하여 수정하였습니다. 孟子: 淳于髡曰 男
    2023-01-13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孟子: 咸丘蒙問曰
    2023-01-13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孟子: 匹夫而有天下
    2023-01-13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孟子: 以友天下之善
    2023-01-13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孟子: 曰 禮重 曰
    2023-01-13
  • 최근 수정
    내용 일시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어떤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온다면 또한 즐겁지 않겠는가?
    四書독해첩경, 論語倢徑
    2025-03-28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공자(孔子)가 말하였다. “배우고 수시로 배운 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四書독해첩경, 論語倢徑
    2025-03-28
    祭義曰 致齊於內하고 散齊於外하여 齊之日에 思其居處하며 思其笑語하며 思其志意하며 思其所樂하며 思其所嗜하여 齊三日에 乃見其所爲齊者니라
    《예기》 〈제의〉에 말하였다. “안에서 치제를 하고 바깥에서 산제를 하여, 재계하는 날에 조상이 거처하시던 것을 생각하며, 조상이 웃고 말씀하시던 것을 생각하며, 조상의 뜻을 생각하며, 조상이 즐기셨던 것을 생각하며, 조상이 좋아하던 것을 것을 생각하여, 재계한 지 삼 일이 되면 마침내 그 위하여 재계했던 사람을 보게 된다.
    小學, 明倫第二
    2025-03-15
    君子之祭也에 必身親莅之니 有故어든 則使人이 可也니라
    군자가 제사를 지낼 때에는 반드시 몸소 직접 제사에 참여해야 하니, 연고가 있으면 다른 사람을 시키는 것이 괜찮다.”
    小學, 明倫第二
    2025-03-14
    祭統曰 夫祭也者는 必夫婦親之니 所以備外內之官也니 官備則具備니라
    《예기》 〈제통〉에 말하였다. “무릇 제사라는 것은 반드시 남편과 아내가 그것을 직접해야 한다. 남편과 아내의 일을 갖추는 방법이니, 일이 갖추어지면 제물도 갖추어진다.
    小學, 明倫第二
    2025-03-14
    稼說送同年張琥 蘇軾
    古文眞寶後集, 卷之九
    2025-03-12
    今先生이 學雖勤而不繇其統하고 言雖多而不要其中하며 文雖奇而不濟於用하고 行雖修而不顯於衆이어늘 猶且月費俸錢하고 歲靡廩粟하여 子不知耕하고 婦不知織하며 乘馬從徒하여 安坐而食하여 踵常途之役役하며 窺陳編以盜竊이라
    古文眞寶後集, 卷之三
    2025-03-12
    昔者에 孟軻好辯하사 孔道以明이로되 轍環天下라가 卒老于行하시고 荀卿守正하여 大論是弘이로되 逃讒于楚하여 廢死蘭陵하니 是二儒者는 吐辭爲經하고 擧足爲法하여 絶類離倫하여 優入聖域이언마는 其遇於世何如也오
    古文眞寶後集, 卷之三
    2025-03-12
    幽賞未已에 高談轉淸이라 開瓊筵以坐花하고 飛羽觴而醉月하니 不有佳作이면 何伸雅懷리오 如詩不成인댄 罰依金谷酒數하리라
    古文眞寶後集, 卷之二
    2025-03-12
    夫天地者는 萬物之逆旅요 光陰者는 百代之過客이라 而浮生若夢하니 爲歡幾何오 古人秉燭夜遊는 良有以也로다 況陽春召我以煙景하고 大塊假我以文章이라 會桃李之芳園하여 序天倫之樂事하니 群季俊秀하여 皆爲惠連이어늘 吾人詠歌獨慚康樂이로다
    古文眞寶後集, 卷之二
    2025-03-12
    先生은 不知何許人이요 亦不詳其姓字며 宅邊에 有五柳樹하여 因以爲號焉이라
    선생이 어디 쯤 사람인지 알지 못하고, 또 그의 성(姓)과 자(字)도 자세하지 않다. 집 곁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가 있어 그로 인해서 오류(五柳)를 호로 삼았다.
    古文眞寶後集, 卷之二
    2025-03-12
    五柳先生傳 陶淵明
    〈오류선생의 전기〉 도연명 지음
    古文眞寶後集, 卷之二
    2025-03-12
    有大人先生하니 以天地爲一朝하고 萬期爲須臾하며 日月爲扃牖하고 八荒爲庭衢하여 行無轍跡하고 居無室廬하여 幕天席地하여 縱意所如하며 止則操巵執觚하고 動則挈榼提壺하여 唯酒是務하니 焉知其餘리오
    古文眞寶後集, 卷之一
    2025-03-12
  •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