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순번 |
도서명 |
열기 |
제작 |
1 |
漢文독해기본패턴(25개정)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 |
[新編]四字小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3 |
四字小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4 |
[新編]推句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5 |
推句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6 |
[新編]明心寶鑑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7 |
明心寶鑑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8 |
啓蒙篇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9 |
童蒙先習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0 |
[新編]擊蒙要訣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1 |
原文故事成語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2 |
註解千子文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3 |
小學集註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4 |
四書讀解倢徑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5 |
大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6 |
論語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7 |
孟子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8 |
中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9 |
漢文讀解捷徑 文學篇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0 |
漢文讀解捷經 史學篇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1 |
漢文讀解捷徑 哲學篇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2 |
古文眞寶後集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3 |
[原本]明心寶鑑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4 |
詩經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5 |
書經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6 |
周易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7 |
三國遺事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8 |
[新編]唐音註解選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29 |
[註解]五言七言唐音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0 |
通鑑節要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1 |
古文眞寶前集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2 |
史記本紀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3 |
史記世家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4 |
史記列傳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5 |
三國史記本紀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6 |
三國史記雜志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7 |
三國史記列傳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최근 토론
최근 수정
내용 |
일시 |
故로 逸生於勞而常休하고 樂生於憂而無厭하나니 逸樂者는 憂勞를其可忘乎아
그러므로 편안함은 수고로움에서 생겨야 항상 기쁘고, 즐거움은 근심에서 생겨야 싫증이 없으니, 편안하고 즐거워하는 사람이 근심과 수고로움을 어찌 잊을 수 있겠는가?
|
明心寶鑑, 正己篇 2025-05-21 |
荀子曰 無用之辯과 不急之察을 棄而勿治하라
순자(荀子)가 말하였다. “쓸데없는 변론과 급하지 않은 관찰은 버려두고 하지 말라.”
|
明心寶鑑, 正己篇 2025-05-21 |
其詩曰 樂見善人하며 樂聞善事하며 樂道善言하며 樂行善意하고 聞人之惡이어든 如負芒刺하고 聞人之善이어든 如佩蘭蕙니라
그의 시에 말하길, ‘선한 사람을 보기를 즐기고, 선한 일 듣기를 즐기고, 선한 말 하기를 즐기고, 선한 뜻 행하기를 즐기고, 남의 악행을 듣거든 가시를 등진 듯이 하고, 남의 선행을 듣는다면 난초와 혜초를 지닌 듯이 하라.’ 하였다.”
|
明心寶鑑, 正己篇 2025-05-21 |
性理書云 見人之善이어든 而尋己之善하고 見人之惡이어든 而尋己之惡이니 如此라야 方是有益이니라
성리서(性理書)에 말하였다. “남의 선을 보거든 나의 선을 찾아보고, 남의 악을 보거든 나의 악한 점을 찾아보라. 이와 같이 해야 바야흐로 유익하다.”
|
明心寶鑑, 正己篇 2025-05-20 |
孝順은 還生孝順子요 忤逆은 還生忤逆兒하나니 不信커든 但看簷頭水하라 點點滴滴不差移니라
효도하고 순종하는 사람은 다시 효도하고 순종하는 자식을 낳고, 부모에게 거역하는 사람은 다시 거역하는 아이를 낳으니, 믿지 못하겠거든 다만 처마 끝의 물을 보라. 방울방울 떨어짐에 차이가 없다.
|
明心寶鑑, 孝行篇 2025-05-20 |
萬事分已定이어늘 浮生空自忙이니라
모든 일은 분수가 이미 정해졌는데, 덧 없는 인생은 부질 없이 스스로 바쁘다.
|
明心寶鑑, 順命篇 2025-05-16 |
子曰 死生有命이요 富貴在天이니라
공자가 말하였다. “죽고 사는 것은 운명에 있고, 부유하고 귀한 것은 하늘에 있다.”
|
明心寶鑑, 順命篇 2025-05-16 |
景行錄曰 恩義를 廣施하라 人生何處不相逢이랴 讐怨을 莫結하라 路逢狹處면 難回避니라
《경행록(景行錄)》에서 말하였다. “은혜와 의리를 널리 베풀어라. 인생 어느 곳에서든 서로 만나지 않겠는가? 원수를 맺지 말라. 길 가다 좁은 곳에서 만나면 회피하기 어렵다.”
|
明心寶鑑, 繼善篇 2025-05-15 |
詩曰 不顯惟德을 百辟其刑之라하니 是故로 君子는 篤恭而天下平이니라
《시경》 〈열문(烈文)〉에 이르길, “드러나지 않는 덕을 제후들이 곧 본받는다.”고 하였으니, 이 때문에 군자가 공경을 돈독하게 하면 천하가 공평해진다.
|
中庸, 中庸章句 2025-04-07 |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樂乎아
어떤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온다면 또한 즐겁지 않겠는가?
|
四書독해첩경, 論語倢徑 2025-03-28 |
子曰 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공자(孔子)가 말하였다. “배우고 수시로 배운 것을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
四書독해첩경, 論語倢徑 2025-03-28 |
祭義曰 致齊於內하고 散齊於外하여 齊之日에 思其居處하며 思其笑語하며 思其志意하며 思其所樂하며 思其所嗜하여 齊三日에 乃見其所爲齊者니라
《예기》 〈제의〉에 말하였다. “안에서 치제를 하고 바깥에서 산제를 하여, 재계하는 날에 조상이 거처하시던 것을 생각하며, 조상이 웃고 말씀하시던 것을 생각하며, 조상의 뜻을 생각하며, 조상이 즐기셨던 것을 생각하며, 조상이 좋아하던 것을 것을 생각하여, 재계한 지 삼 일이 되면 마침내 그 위하여 재계했던 사람을 보게 된다.
|
小學, 明倫第二 2025-03-15 |
君子之祭也에 必身親莅之니 有故어든 則使人이 可也니라
군자가 제사를 지낼 때에는 반드시 몸소 직접 제사에 참여해야 하니, 연고가 있으면 다른 사람을 시키는 것이 괜찮다.”
|
小學, 明倫第二 2025-03-1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