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위치 : > 書經集傳 > 虞書 堯典 > 12章 > 1節      48/2205


축자역 익히기    보기(단축키) :                  
※ 《서경(書經)》 검색 및 비교의 목적으로 원문(原文)만 제공됩니다. 우선 기초한문·사서 등 기본서부터 시작하여 각종 학습정보가 구축되고 있습니다.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帝曰 咨四岳 在位七十載 汝能庸命하나니 巽朕位인저 岳曰 否德이라 忝帝位하리이다 曰 明明하며 揚側陋하라 師錫帝曰 有鰥 在下하니 曰虞舜이니이다 帝曰 兪 予聞호니 如何 岳曰 瞽子 父頑하며 母嚚하며 象傲어늘 克諧以孝하여 烝烝乂하여 不格姦하니이다 帝曰 我其試哉인저 女于時하여 觀厥刑于二女호리라하시고 釐降二女于嬀汭하사 嬪于虞하시고 帝曰 欽哉하라하시다

제요가 말하였다.

“아! 사악(四岳)아. 짐이 재위한 것이 칠십 해인데, 그대가 〈나의〉 명을 좇아서 받드는데 능하니, 짐의 자리를 〈너에게〉 물려주겠다.”

사악이 말하였다.

“〈저는〉 덕이 없어서 제왕의 자리를 더럽힐 것입니다.”

〈제요가〉 말하였다.

“이미 밝은 이는 밝게 드러내고 미천한 자라도 천거하라.”

여러 사람이 제요에게 말하였다.

“한 홀아비가 민간에 있는데, ‘우순(虞舜)’이라 합니다.”

제요가 말하였다.

“옳지. 나도 들은 적이 있는데, 어떤 사람인가?”

사악이 말하였다.

“장님의 아들인데, 아비는 미련하고 어미는 사나우며 〈이복동생인〉 상(象)은 교만한데도, 능히 효성으로 화합하고 부지런히 감화시켜 〈그들을〉 간악함에 이르지 않게 하였습니다.”

제요가 말하였다.

“내가 그를 시험해보리라. 그에게 딸을 시집보내어 두 딸에게 그의 법도를 살피게 하겠다.”

하고, 치장하여 두 딸을 규수의 가에 하가(下嫁)시키서 우순에게 아내로 삼았다. 제요가 〈딸들에게〉 말하였다.

“〈지아비를〉 공경하라.”

축자직해 정보(Verbal Translation & etc.)
  • *
    1
     임금 제 
     요(堯)임금 
  • 2
      
  •  
  • 1
      
  • *
    2
      
  • 3
      
  •  

    아 
  •  
  • 1
     나 짐 
     왕의 겸칭 
  •  

    이 
  • 2
      
  • 3
     자리 위 
     자리, 지위 
  • 4
      
  • 5
      
  • 6
     (≒年)해 재 
     ~년, ~해 
  •  

    니 
  •  
  • 1
      
  • 4
      
  • *
    3
     수고할 용 
     수고하다, 수행하다 
  • 2
      
  •  

    하나니 
  •  
  • 3
     (≒遜)양보할 손 
     양보하다 
  • 1
      
  • 2
      
  •  

    인저 
  •  
  • *
    1
      
  • 2
      
  •  
  • *
    2
      
  • *
    1
      
  •  

    이라 
  •  
  • 3
      
  • 1
      
  • 2
      
  •  

    하리이다 
  •  
  • 1
      
  •  
  • 2
      
  • 1
      
  •  

    하며 
  •  
  • 3
     드러낼 양 
     드러내다 
  • *
    1
      
  • 2
      
  •  

    하라 
  •  
  • *
    1
      
  • 2
      
  • 3
      
  • 4
      
  •  
  • 1
     어떤 유 
     어느, 어떤, 한 
  • 2
     홀아비 환 
     홀아비 
  •  

    이 
  • 4
      
  • 3
     아래 하 
     하층, 민간 
  •  

    하니 
  •  
  • 3
      
  • *
    1
     땅 이름 우 
     순임금 
  • 2
     무궁화 순 
     시호(諡號), 순임금 
  •  

    이니이다 
  •  
  • *
    1
      
  • 2
      
  •  
  • 1
     감탄할 유 
     좋다, 옳다, 그렇다 
  •  

    라 
  •  
  • 1
     나 여 
     [1인칭]나 
  • 2
      
  •  

    호니 
  •  
  • 1
      
  • 2
      
  •  

    오 
  •  
  • *
    1
     큰 산 악 
     인명(人名) 
  • 2
      
  •  
  • 1
      
  • 2
      
  •  

    니 
  •  
  • 1
      
  • 2
     완악할 완 
     사납다 
  •  

    하며 
  •  
  • 1
      
  • 2
     어리석을 은 
     모질다 
  •  

    하며 
  •  
  • 1
     코끼리 상 
     인명(人名) 
  • 2
     거만할 오 
     거만하다, 교만하다 
  •  

    어늘 
  •  
  • 1
     (≒能)능할 극 
     능하다 
  • 4
     화할 해 
     화합하다 
  • 3
      
  • *
    2
      
  •  

    하여 
  •  
  • *
    1
      
  • 2
      
  • 3
     다스릴 예 
     다스리다 
  •  

    하여 
  •  
  • 3
      
  • 2
     이를 격 
     이르다 
  • 1
     간사할 간 
     간사하다, 간악하다 
  •  

    하니이다 
  •  
  • *
    1
     임금 제 
     요(堯)임금 
  • 2
      
  •  
  • 1
      
  • 2
      
  • 3
     시험 시 
     시험하다 
  • 4
      
  •  

    인저 
  •  
  • 3
     시집보낼 녀 
     시집보내다 
  • 2
      
  • 1
     (≒是)이 시 
     이, 이것 
  •  

    하여 
  •  
  • 6
      
  • 4
     그 궐 
     그, 그것 
  • 5
     법도 형 
     법, 법도 
  • 3
      
  • *
    1
      
  • 2
      
  •  

    호리라하시고 
  •  
  • 1
     다스릴 리 
     다스리다 
  • 7
     하가할 강 
     아랫신분과 결혼하다 
  • 2
      
  • 3
      
  • 6
      
  • *
    4
     물이름 규 
     규수(嬀水) 
  • 5
     물굽이 예 
     물가, 물굽이 
  •  

    하사 
  •  
  • 3
     아내 빈 
     아내로 삼다 
  • 2
      
  • 1
     염려할 우 
     인명(人名) 
  •  

    하시고 
  •  
  • *
    1
     임금 제 
     요(堯)임금 
  • 2
      
  •  
  • 1
     공경할 흠 
     공경하다, 흠모하다 
  • 2
     어조사 재 
     ~구나!, ~로다! 
  •  

    하라하시다 
*(제)   *四岳(사악)   *庸命(용명)   *(약)   *否德(비덕)   *(덕)   *側陋(측루)   *師錫(사석)   *虞舜(우순)   *(효)   *烝烝(증증)   *二女(이녀)   *嬀汭(규예)  
  • 제요가 
  • 말하였다. 
  • “아! 
  • 사악(四岳)아. 
    四岳
  • 짐이 
  • 재위한 것이 
    在位
  • 십 
  • 해인데, 
  • 그대가 
  • 〈나의〉 
    <補充>
  • 명을 
  • 좇아서 받드는데 
  • 능하니, 
  • 짐의 
  • 자리를 
  • 〈너에게〉 
    <補充>
  • 물려주겠다.” 
  • 사악이 
  • 말하였다. 
  • “〈저는〉 
    <補充>
  • 덕이 
  • 없어서 
  • 제왕의 
  • 자리를 
  • 더럽힐 것입니다.” 
  • 〈제요가〉 
    <補充>
  • 말하였다. 
  • “이미 밝은 이는 
  • 밝게 드러내고 
  • 미천한 자라도 
    側陋
  • 천거하라.” 
  • 여러 사람이 
    師錫
  • 제요에게 
  • 말하였다. 
  • “한 
  • 홀아비가 
  • 민간에 
  • 있는데, 
  • ‘우순(虞舜)’
    虞舜
  • 이라 합니다.” 
  • 제요가 
  • 말하였다. 
  • “옳지. 
  • 나도 
  • 들은 적이 있는데, 
  • 어떤 사람인가?” 
    如何
  • 사악이 
  • 말하였다. 
  • “장님의 
  • 아들인데, 
  • 아비는 
  • 미련하고 
  • 어미는 
  • 사나우며 
  • 〈이복동생인〉 
    <補充>
  • 상(象)은 
  • 교만한데도, 
  • 능히 
  • 효성
  • 으로 
  • 화합하고 
  • 부지런히 
    烝烝
  • 감화시켜 
  • 〈그들을〉 
    <補充>
  • 간악함에 
  • 이르지 
  • 않게 하였습니다.” 
  • 제요가 
  • 말하였다. 
  • “내가 
  • 그를 
  • 시험해보
  • 리라. 
  • 에게 
  • 딸을 시집보내어 
  • 두 
  • 에게 
  • 그의 
  • 법도를 
  • 살피게 하겠다.” 
  • 하고, 
    <補充>
  • 치장하여 
  • 두 
  • 딸을 
  • 규수의 
  • 에 
  • 하가(下嫁)시키서 
  • 우순
  • 에게 
  • 아내로 삼았다. 
  • 제요가 
  • 〈딸들에게〉 
    <補充>
  • 말하였다. 
  • “〈지아비를〉 
    <補充>
  • 공경하
  • 라.” 
한자수준 : 중학900고교9001800초과
교재문장번호 : 13
최종수정 : 2025년 6월 5일 오전 2:50:33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


  • 학습도구 ◁▷
  • 기본학습도구
  • 토론(討論)
  • 듣기/읽기(音源)(S)
  • 쓰기연습(W)
  • 동영상(動映像)(V)
  • 자의(字義)
  • 패턴(熟語)
  • 어휘(詞典)
  • 심화학습도구
    (중급이상)
  • 언해(諺解)(T)
  • 영역(英譯)(E)
  • 원주(原注)(O)
  • 주소(注疏)
  • 원전(原典)(I)
  • 보조학습도구
  • 책갈피(附箋)
  • 왕조도(王朝圖)
  • 동양연표(東洋年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