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위치 : > 四書독해첩경 > 孟子倢徑 > 27節      253/400


축자역 익히기    보기(단축키) :                  
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권한이 없어 일부 기능만 이용이 가능합니다.(하단 참조)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曰 王之所大欲 可得聞與잇가 王笑而不言하신대 曰 爲肥甘 不足於口與 輕煖 不足於體與잇가 抑爲采色 不足視於目與 聲音 不足聽於耳與 便嬖不足使令於前與잇가 王之諸臣 皆足以供之하나니 而王 豈爲是哉시리잇고 曰 否 吾不爲是也로이다 曰 然則王之所大欲 可知已 欲辟土地하며 朝秦楚하여 莅中國而撫四夷也로소이다 以若所爲 求若所欲이면 猶緣木而求魚也니이다

〈맹자가〉 말하였다.

“왕의 크게 하고자 하는 바를 얻어들을 수 있습니까?”

왕이 웃으며 말하지 않았다. 〈맹자가〉 말하였다.

“살지고 단 것이 입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까? 가볍고 따뜻한 〈옷〉이 몸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까? 아니면 채색이 눈에 충분하게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까? 좋은 소리가 귀에 충분하게 들리지 않기 〈때문〉입니까? 총애하는 자들을 앞에서 부리기에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까? 왕의 여러 신하가 모두 충분하게 그것을 제공하는데 왕이 어찌 그것 때문이겠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아닙니다. 나는 그것 때문이 아닙니다.”

〈맹자가〉 말하였다.

“그렇다면, 왕이 크게 바라는 바를 알 수 있겠습니다. 토지를 개척하고 진나라와 초나라에게 조회를 받아 중국에 자리하여 사방 오랑캐를 어루만지고자 함입니다. 이 같이 하는 바로, 이 같이 바라는 바를 구하는 것은 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함과 같습니다.”

 

- 孟子 梁惠王上 7章 16節

축자직해 정보(Verbal Translation & etc.)
  • 1
     말할 왈 
     말하다, 일컫다 
  •  
  • 1
     임금 왕 
     임금, 군주 
  • 2
     어조사 지 
     ~의/하는 
  • 5
     바 소 
     ~한 바, ~한 것 
  • 3
     큰 대 
     크게, 매우, 가장 
  • 4
     바랄 욕 
     바라다, 원하다 
  •  

    을 
  •  
  • 3
     가할 가 
     ~할 수 있다 
  • 1
     얻을 득 
     얻다 
  • 2
     들을 문 
     듣다 
  • 1
    4
     (≒歟)그런가 여 
     ~인가? ~한가? 
  •  

    잇가 
  •  
  • 1
     임금 왕 
     임금, 군주 
  • 2
     웃음 소 
     웃다 
  • 3
     말 이을 이 
     [자격]~이면서, ~로서 
  • 5
     아니 불 
     ~않다 
  • 4
     말씀 언 
     말하다, 아뢰다 
  •  

    하신대 
  •  
  • 1
     말할 왈 
     말하다, 일컫다 
  •  
  • *
    7
     까닭 위 
     때문이다, 때문에 
  • 1
     살찔 비 
     살찌다 
  • 2
     달 감 
     달다 
  •  

    이 
  • 6
     아니 불 
     ~않다 
  • 5
     풍족할 족 
     충분하다, 넉넉하다, 풍족하다 
  • 4
     어조사 어 
     ~에, ~에서, ~부터 
  • 3
     입 구 
     입[口] 
  • 2
    8
     (≒歟)그런가 여 
     ~인가? ~한가? 
  •  

    며 
  •  
  • *
    1
     가벼울 경 
     가볍다 
  • 2
     따듯할 난 
     따뜻하다 
  •  

    이 
  • 7
     아니 불 
     ~않다 
  • 6
     풍족할 족 
     충분하다, 넉넉하다, 풍족하다 
  • 5
     어조사 어 
     ~에, ~에서, ~부터 
  • 4
     몸 체 
      
  • 2
    8
     (≒歟)그런가 여 
     ~인가? ~한가? 
  •  

    잇가 
  •  
  • 1
     아니 억 
     아니면 
  • 9
     할 위 
     하다, 행하다 
  • *
    2
     무늬 채 
     무늬 
  • 3
     빛 색 
     색, 색깔 
  •  

    이 
  • 8
     아니 불 
     ~않다 
  • 6
     풍족할 족 
     충분하다, 넉넉하다, 풍족하다 
  • 7
     볼 시 
     보다 
  • 5
     어조사 어 
     ~에, ~에서, ~부터 
  • 4
     눈 목 
     눈[目]  
  • 2
    10
     (≒歟)그런가 여 
     ~인가? ~한가? 
  •  

    며 
  •  
  • *
    1
     소리 성 
     좋은 소리 
  • 2
     소리 음 
     좋은 소리 
  •  

    이 
  • 7
     아니 불 
     ~않다 
  • 5
     풍족할 족 
     충분하다, 넉넉하다, 풍족하다 
  • 6
     들을 청 
     들리다 
  • 4
     어조사 어 
     ~에, ~에서, ~부터 
  • 3
     귀 이 
     귀[耳] 
  • 2
    8
     (≒歟)그런가 여 
     ~인가? ~한가? 
  •  

    며 
  •  
  • *
    1
    便
     편벽될 편 
     편벽되다, 치우치다 
  • 2
     총애할 폐 
     총애하다 
  • 8
     아니 불 
     ~않다 
  • 7
     풍족할 족 
     충분하다, 넉넉하다, 풍족하다 
  • 5
    使
     부릴 사 
     부리다, 일을 시키다 
  • 6
     명령 령 
     명령하다 
  • 4
     어조사 어 
     ~에, ~에서, ~부터 
  • 3
     앞 전 
     앞, 이전 
  • 2
    9
     (≒歟)그런가 여 
     ~인가? ~한가? 
  •  

    잇가 
  •  
  • 1
     임금 왕 
     임금, 군주 
  • 2
     어조사 지 
     ~의/하는 
  • 3
     모두 제 
     여러, 모두 
  • 4
     신하 신 
     신하, 가신 
  •  

    이 
  • 5
     다 개 
     모두, 다 
  • 3
    6
     풍족할 족 
     충분하다, 넉넉하다, 풍족하다 
  • 7
     써 이 
     ~으로(써/서) 
  • 9
     이바지할 공 
     공급하다, 제공하다 
  • 8
     그것 지 
     그, 그것 
  •  

    하나니 
  •  
  • 1
     말 이을 이 
     [전환]~한데, ~하니, ~하되, 그런데 
  • 2
     임금 왕 
     임금, 군주 
  •  

    은 
  • 4
    3
     어찌 기 
     어찌? 
  • 5
     위할 위 
     위하다 
  • 4
     이 시 
     이, 이것 
  • 4
    6
     어조사 재 
     ~인가?, ~한가? 
  •  

    시리잇고 
  •  
  • 1
     말할 왈 
     말하다, 일컫다 
  •  
  • 1
     아닐 부 
     아니다 
  •  

    라 
  •  
  • 1
     나 오 
     나, 우리 
  • 4
     아니 불 
     ~아니다 
  • 3
     까닭 위 
     때문이다, 때문에 
  • 2
     이 시 
     이, 이것 
  • 5
     어조사 야 
     ~이다 
  •  

    로이다 
  •  
  • 1
     말할 왈 
     말하다, 일컫다 
  •  
  • 1
     그럴 연 
     그렇다 
  • 5
    2
     면 즉 
     ~이/하면, ~라도 
  • 3
     임금 왕 
     임금, 군주 
  • 4
     어조사 지 
     ~이/가, ~은/는 
  • 7
     바 소 
     ~한 바, ~한 것 
  • 5
     큰 대 
     크게, 매우, 가장 
  • 6
     바랄 욕 
     바라다, 원하다 
  •  

    을 
  • 9
     가할 가 
     ~할 수 있다 
  • 8
     알 지 
     알다 
  • 6
    10
      
  •  

    니 
  •  
  • 14
     하고자 할 욕 
     하고자 하다 
  • 3
     (≒開)개척할 벽 
     개척하다, 개간하다 
  • 1
     흙 토 
      
  • 2
     땅 지 
      
  •  

    하며 
  • 6
     조회할 조 
     조회받다 
  • *
    4
     나라 이름 진 
     국명(國名), 진(秦)나라 
  • *
    5
     회초리 초 
     국명(國名), 초나라 
  •  

    하여 
  • 9
     임할 리 
     위치하다 
  • 7
     가운데 중 
     가운데 
  • 8
     나라 국 
     나라 
  • 10
     말 이을 이 
     [계속]~하여, ~해서, 그래서 
  • 13
     어루만질 무 
     어루만지다 
  • *
    11
     넉 사 
     사방(四方), 모든 
  • 12
     오랑캐 이 
     오랑캐 
  • 15
     어조사 야 
     ~이다 
  •  

    로소이다 
  •  
  • 7
    4
     써 이 
     ~으로(써/서) 
  • 1
     같을 약 
     이와 같이 
  • 3
     바 소 
     ~한 바, ~한 것 
  • 2
     할 위 
     하다, 행하다 
  •  

    로 
  •  
  • 8
     구할 구 
     구하다, 찾다 
  • 5
     같을 약 
     이와 같이 
  • 7
     바 소 
     ~한 바, ~한 것 
  • 6
     바랄 욕 
     바람, 욕망 
  •  

    이면 
  •  
  • 6
     같을 유 
     같다 
  • *
    2
     오를 연 
     기어오르다 
  • 1
     나무 목 
     나무 
  • 3
     말 이을 이 
     [계속]~하여, ~해서, 그래서 
  • 5
     구할 구 
     구하다, 찾다 
  • 4
     물고기 어 
     물고기 
  • 7
     어조사 야 
     ~이다 
  •  

    니이다 
1 A與A인가? ; A하는가?  2 A與抑B與A인가? … 아니면 B인가? …  3 A足以BA로써 B하기에 충분하다 ; A로써 B할 수 있다  4 豈A哉어찌 A인가? ; 어찌 A하는가? ; 무엇을 A하는가?  5 A則BA이면 B이다 ; A하면 B하다  6 A已A 를 알겠다 ; A 를 알게 되었다  7 A以BA로써(로서) B하다 
*肥甘(비감)   *輕暖(경난)   *采色(채색)   *聲音(성음)   *便嬖(편폐)   *(진)   *(초)   *四夷(사이)   *緣木而求魚(연목이구어)  
  • 〈맹자가〉 
    <補充>
  • 말하였다. 
  • “왕
  • 의 
  • 크게 
  • 하고자 하는 
  • 바를 
  • 얻어
  • 들을 
  • 수 있
  • 습니까?” 
  • 왕이 
  • 으며 
  • 말하지 
  • 않았다. 
  • 〈맹자가〉 
    <補充>
  • 말하였다. 
  • “살지고 
  • 단 것이 
  • 에 
  • 충분하지 
  • 않기 
  • 때문
  • 입니까? 
  • 가볍고 
  • 따뜻한 
  • 〈옷〉이 
    <補充>
  • 에 
  • 충분하지 
  • 않기 
  • 〈때문〉
    <補充>
  • 입니까? 
  • 아니면 
  • 채색이 
    采色
  • 에 
  • 충분하게 
  • 보이지 
  • 않기 
  • 때문
  • 입니까? 
  • 좋은 소리가 
    聲音
  • 에 
  • 충분하게 
  • 들리지 
  • 않기 
  • 〈때문〉
    <補充>
  • 입니까? 
  • 총애하는 자들을 
    便嬖
  • 에서 
  • 부리기에 
    使令
  • 충분하지 
  • 못하기 
  • 〈때문〉
    <補充>
  • 입니까? 
  • 의 
  • 여러 
  • 신하가 
  • 모두 
  • 충분하게 
    足以
  • 그것을 
  • 제공하
  • 는데 
  • 왕이 
  • 어찌 
  • 그것 
  • 때문
  • 이겠습니까?” 
  • 〈왕이〉 
    <補充>
  • 말하였다. 
  • “아닙니다. 
  • 나는 
  • 그것 
  • 때문이 
  • 아닙
  • 니다.” 
  • 〈맹자가〉 말하였다. 
  • “그렇다
  • 면, 
  • 이 
  • 크게 
  • 바라는 
  • 바를 
  • 알 
  • 수 있
  • 겠습니다. 
  • 토지를 
    土地
  • 개척하고 
  • 진나라와 
  • 초나라에게 
  • 조회를 받아 
  • 중국에 
    中國
  • 자리
  • 하여 
  • 사방 
  • 오랑캐를 
  • 어루만지
  • 고자 함
  • 입니다. 
  • 이 같이 
  • 하는 
  • 로, 
  • 이 같이 
  • 바라는 
  • 바를 
  • 구하는 것은 
  • 나무에 
  • 올라가
  • 서 
  • 물고기를 
  • 구함과 
  • 습니다.” 
한자수준 : 便使 중학900고교9001800초과
교재문장번호 : 27
최종수정 : 2025년 5월 16일 오후 1:21:03
이용 권한 안내
서당/서원 정회원, 도서QR, 전자책 링크 : 본 서비스의 전체 정보 전체공개 샘플 보기
    - 도서 QR 또는 전자책 링크로 접근한 경우 본 서비스의 페이지 이동이 제한됨. 도서 QR 또는 전자책 링크로만 이용이 가능
非로그인 / 무료회원
    - 이용가능 : 원문, (의역), 축자번호, 자음, 현토, 듣기/읽기, 쓰기연습, 언해, 영역 제공
    - 이용제한 : 축자익히기, 자의, 패턴, 어휘, 직해, 책갈피, 토론 제공
▶ 각 도서별 첫편 또는 서문 등 첫 챕터는 권한에 상관 없이 이용 가능
※ 본 첩경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으므로, 공개 범위에 해당이 되더라도 등재중인 자료는 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


  • 학습도구 ◁▷
  • 기본학습도구
  • 토론(討論)
  • 듣기/읽기(音源)(S)
  • 쓰기연습(W)
  • 동영상(動映像)(V)
  • 자의(字義)
  • 패턴(熟語)
  • 어휘(詞典)
  • 심화학습도구
    (중급이상)
  • 언해(諺解)(T)
  • 영역(英譯)(E)
  • 원주(原注)(O)
  • 주소(注疏)
  • 원전(原典)(I)
  • 보조학습도구
  • 책갈피(附箋)
  • 왕조도(王朝圖)
  • 동양연표(東洋年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