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순번 |
도서명 |
열기 |
제작 |
1 |
漢文독해기본패턴(25개정)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 |
四書독해첩경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3 |
漢文讀解捷徑 文學篇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4 |
漢文讀解捷經 史學篇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5 |
漢文讀解捷徑 哲學篇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6 |
大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7 |
論語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8 |
孟子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9 |
中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0 |
小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1 |
[新編]四字小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2 |
[新編]推句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3 |
[新編]明心寶鑑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4 |
啓蒙篇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5 |
童蒙先習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6 |
[新編]擊蒙要訣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7 |
[新編]唐音註解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8 |
原文故事成語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19 |
古文眞寶後集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0 |
[原本]明心寶鑑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1 |
詩經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2 |
書經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3 |
周易 검색전용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4 |
四字小學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5 |
推句 |
열기 |
전통문화연구회 |
26 |
註解千字文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27 |
古文眞寶前集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28 |
通鑑節要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29 |
[註解]五言七言唐音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0 |
明心寶鑑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1 |
史記本紀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2 |
史記世家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3 |
史記列傳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4 |
三國史記本紀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5 |
三國史記雜志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6 |
三國史記列傳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37 |
三國遺事 검색전용 |
준비중 |
전통문화연구회 |
최근 토론
토론내용 |
문장/일시 |
깔 자의 네이버 사전 10번째 뜻인 '갈다, 경작하다 자'일 듯합니다! |
孟子: 夏后氏五十而 2024-08-08 |
수정하였습니다. |
論語: 君子篤於親 2024-05-28 |
'A爲B'를 'A는 B이다'로 풀이하여 '할 수 있[能]다[爲].'로 정리하였습니다. |
孟子: 孟子曰 人不 2024-03-13 |
아래 Null 이라고 뜹니다. |
論語: 君子篤於親 2023-09-17 |
언해에는 류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선 류를 따른 거구요. 둘 다 허용되라라 생각됩니다. |
孟子: 蓋上世 嘗有 2023-08-24 |
네. 맞습니다.
본 원문의 주석을 보면
元은 於時爲春이요 於人爲仁이며 亨은 於時爲夏요 於人爲禮며 利는 於時爲秋요 於人爲義며 貞은 於時爲冬이요 於人爲智니라
라고 하였습니다. |
小學: 元亨利貞天道 2023-05-18 |
원형이정이 봄여름가을겨울이기도 하고 인의예지이기도 해석이 되기도 하나요? |
小學: 元亨利貞天道 2023-04-12 |
보완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孟子: 孟子謂萬章曰 2023-03-23 |
만장하 8장1절
학습도구 듣기/읽기 없습니다 |
孟子: 孟子謂萬章曰 2023-02-12 |
공손추상 에서,기본학습도구/듣기 범위를 편으로 선택후 "편 전체를 듣기" 할때, 편의 중간부분부터 보이는문장과 음성이 틀리고 있습니다 |
孟子: 或問乎曾西曰 2023-01-29 |
양혜왕상 에서 기본학습도구/듣기 범위를 편으로 선택후 "편 전체를 듣기" 할때 편의 중간부분부터 보이는문장과 음성이 틀리고 있습니다. [추신] 유익한 컨텐츠구축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
孟子: 孟子見梁惠王 2023-01-29 |
원문 및 의역에서 '장자'가 '광장'으로 표기되어 검토 요망합니다.
|
孟子: 夫章子 豈不 2023-01-28 |
"향전에 우물을 함께하는 사람이 : 마을의 정전을 함께하는 사람이 " 듣기 읽기에 검토요 |
孟子: 死徙無出鄕 2023-01-24 |
"군자의 말은 띠까지 내려가지 않아도 도(道)가 거기에 있으며" : 994/1021 하단으로 배치하여야 함을 검토요망합니다.
|
孟子: 君子之守 修 2023-01-15 |
듣기/읽기 및 직해를 형수로 통일하여 수정하였습니다. |
孟子: 淳于髡曰 男 2023-01-13 |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孟子: 咸丘蒙問曰 2023-01-13 |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孟子: 匹夫而有天下 2023-01-13 |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孟子: 以友天下之善 2023-01-13 |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孟子: 曰 禮重 曰 2023-01-13 |
"예로써 먹으면 굶어서 : 예로써 먹으면 굶어서 죽게 되고" ---듣기/읽기에 해석부분 줄맞추기 검토 요망 |
孟子: 曰 禮重 曰 2023-01-13 |
듣기/읽기에서 글과 읽기가 맞지 않으니 수정 검토요망함, 읽기가 빠릅니다. |
孟子: 以友天下之善 2023-01-10 |
중니는 천하를 소유하지 못한 것이라네 : 읽기 누락됨 |
孟子: 匹夫而有天下 2023-01-08 |
요임금의 삼년상을 행했다면, 이는 천자가 둘인 셈이네 : 읽기 안됨. |
孟子: 咸丘蒙問曰 2023-01-08 |
"제수"를 "형수"로 수정 검토 요망 |
孟子: 淳于髡曰 男 2023-01-07 |
"鶃鶃"字가 "거위 역, 거위 예"인데 "역역"과 "얼얼"로 표기되어있는데 검토요망합니다. |
孟子: 曰仲子齊之世 2023-01-05 |
"傳"字를 대접하다로 해석은 어떤 것(자전?)으로 할 수 있습니까? 몰라서... |
孟子: 彭更問曰 後 2023-01-05 |
虆 [ 덩굴 류(유), 삼태기 라(나) ]
1.(덩굴 류(유))
a.덩굴(길게 뻗어 나가는 식물의 줄기) b.기어 오르다 c.타고 오르다
2.(삼태기 라(나))
a.삼태기(흙을 담아 나르는 그릇) b.짚그릇
c.새끼(주로 볏짚으로 꼬아 만든 줄)로 결은 삼태기
"삼태기 라"로 읽어야 하지 않습니까? 축자직해정보엔 "류"로 표기 됨 |
孟子: 蓋上世 嘗有 2023-01-04 |
藉[깔 자, 짓밟을 적, 빌릴 차 ] 축자직해정보엔 "빌릴 자"로 표기됨
1.(깔 자) 2.(자리를)깔다 3.기대다, 의지하다(依支--)
"차,자" 어느 것으로 적용해야 합니까? |
孟子: 夏后氏五十而 2023-01-04 |
축자 직해 하단 "병사를 가추는 일을 위하여...."를 "병사를 갖추는 일을 위하여..."로 수정이 요구됩니다. |
孟子: 當在薛也 予 2023-01-02 |
"다시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 듣기가 안됩니다. 참고하세요 |
孟子: 公孫丑問曰 2023-01-01 |
"구원할 구"는 "구원할 증"이 아닌지? |
孟子: 今 燕虐其民 2023-01-01 |
축자직해 정보에 "부억 주"를 "부엌 주"로 수정 검토 요망합니다. |
孟子: 曰 無傷也 2022-12-30 |
"진나라 문공"을 "목공"으로 표현되었습니다. |
孟子: 齊宣王問曰 2022-12-30 |
맹자의 고자상(告子上)까지, 축자직해 데이터의 1차검토가 완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孟子: 告子章句上 2022-11-08 |
처리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孟子: 孔子曰 操則 2022-10-26 |
최근 수정
내용 |
일시 |
子路率爾而對曰 千乘之國이 攝乎大國之間하여 加之以師旅요 因之以饑饉이어든 由也爲之면 比及三年하여 可使有勇이요 且知方也케호리이다 夫子哂之하시다
자로(子路)가 경솔하게 대답하였다. “천승의 나라가 대국의 사이에 끼어있어, 그곳에 군대가 보태어지고 그곳에 기근이 잇따르거든, 제가 그 나라를 다스리면, 삼 년에 이르러서 〈백성〉에게 용기를 갖고 또 지향하는 점을 알게 할 수 있습니다.” 공자가 그일을 비웃었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子路 曾晳 冉有 公西華侍坐러니
자로(子路)와 증석(曾晳)과 염유(冉有)와 공서화(公西華)가 〈공자를〉 모시고 앉았는데,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子路曰 有民人焉하며 有社稷焉하니 何必讀書然後에 爲學이리잇고
자로(子路)가 말하였다. “백성이 있고 사직(社稷)이 있으니, 어찌 반드시 책을 읽은 뒤에 학문을 하겠습니까?”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子曰 是故로 惡夫佞者하노라
공자가 말하였다. “이 때문에 저 말을 잘하는 사람을 미워하는 것이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子曰 賊夫人之子로다
공자가 말하였다. “무릇 남의 자식을 해치는 것이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子路使子羔로 爲費宰한대
자로(子路)가 자고(子羔)로 하여금 비읍(費邑)의 읍재로 삼았는데,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所謂大臣者는 以道事君하다가 不可則止하나니
이른바 대신은 도로 임금을 섬기다가 안되면 그치는 것이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今由與求也는 可謂具臣矣니라
지금 중유와 염구는 자리를 채우는 신하[具臣]라 할 수 있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子曰 吾以子爲異之問이러니 曾由與求之問이로다
공자가 말하였다. “나는 너에게 특이한 질문을 〈하리라고〉 여겼는데, 겨우 중유(仲由, 자로)와 염구(冉求)를 묻는구나!”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點아 爾는 何如오 鼓瑟希러니 鏗爾舍瑟而作하여 對曰 異乎三子者之撰호이다 子曰 何傷乎리오 亦各言其志也니라 曰 莫春者에 春服이 旣成이어든 冠者五六人과 童子六七人으로 浴乎沂하여 風乎舞雩하여 詠而歸호리이다 夫子喟然嘆曰 吾與點也하노라
〈공자가 말하였다.〉 “점아! 너는 어찌하겠느냐?” 〈증점의〉 비파 연주가 잦아들더니 ‘꽝’ 비파를 내려놓고서 일어나서 대답하였다. “세 사람의 선택과 다릅니다.” 공자가 말하였다. “어찌 근심하느냐? 또한, 각자 제 뜻을 말한 것이네.” 〈증점이〉 말하였다. “늦봄에 봄옷이 완성되거든 관을 쓴 사람 대여섯 명과 어린아이 예닐곱 명과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 쐬고서 노래하면서 돌아오겠습니다.” 공자가 ‘아!’ 탄식하며 말하였다. “나는 증점을 인정하노라.”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子畏於匡하실새 顔淵이 後러니 子曰 吾以女爲死矣라호라 曰 子在어시니 回何敢死리잇고
공자가 광(匡) 땅에서 포위 당하였는데, 안연(顔淵)이 뒤쳐지자, 공자가 말하였다. “나는 너를 죽었다고 여겼다.” 〈안연이〉 말하였다. “선생이 계시니 제가 어찌 감히 죽겠습니까?”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子路問 聞斯行諸잇가 子曰 有父兄在하니 如之何其聞斯行之리오 冉有問 聞斯行諸잇가 子曰 聞斯行之니라 公西華曰 由也問聞斯行諸어늘 子曰 有父兄在라하시고 求也問聞斯行諸어늘 子曰 聞斯行之라하시니 赤也惑하여 敢問하노이다 子曰 求也는 退故로 進之하고 由也는 兼人故로 退之로라
자로(子路)가 물었다. “〈옳은 일을〉 들으면 행해야 합니까?” 공자가 말하였다. “부형이 계시니 어찌 듣고 바로 그 일을 행하는 짓을 하겠는가?” 염유(冉有)가 물었다. “〈옳은 일을〉 들으면 행해야 합니까?” 공자가 말하였다. “들으면 곧 그 일을 행해야 하네.” 공서화(公西華)가 말하였다. “자로가 ‘들으면 행합니까?’라고 묻자, 선생님이 ‘부형이 계신다.’고 말하시고, 염유가 ‘들으면 행합니까?’라고 묻자, 선생님이 ‘들으면 그것을 행한다.’고 말하시니, 제가 의혹 되어 감히 묻습니다.” 공자가 말하였다. “염유는 물러나는 까닭에 그를 나아가게 하고, 자로는 남보다 뛰어난 까닭에 그를 물러나게 하였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子曰 回也는 其庶乎요 屢空이니라
공자가 말하였다. “안회(顔回)는 그 〈도에〉 가까웠고, 자주 궁핍하였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師也는 辟하고
전손사(顓孫師, 자장)는 치우쳤고,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柴也는 愚하고
“고시(高柴, 자고)는 어리석고,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季氏富於周公이어늘 而求也 爲之聚斂而附益之한대
계씨(季氏)가 주공(周公)보다 부유하였는데, 염유는 계씨를 위하여 세금을 과하게 걷어서 그에게 보태주었는데,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曰 然則師愈與잇가
〈자공이〉 말하였다. “그렇다면 자장이 낫습니까?”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魯人이 爲長府어늘
노(魯)나라 사람이 장부(長府)를 〈고쳐〉 지었는데,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季路問事鬼神한대 子曰 未能事人이면 焉能事鬼리오 敢問死하노이다 曰 未知生이면 焉知死리오
자로(季路)가 귀신 섬기는 것을 묻자, 공자가 말하였다. “사람을 섬길 수 없으면, 어찌 귀신을 섬길 수 있겠는가?” 〈자로가〉 “감히 죽음을 묻습니다.” 하자, 〈공자가〉 말하였다. “삶을 알지 못하면 어찌 죽음을 알겠는가?”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7 |
子曰 回也는 視予猶父也어늘 予는 不得視猶子也호니 非我也라 夫二三子也니라
공자가 말하였다. “안회는 나를 아버지와 같이 여겼는데, 나는 아들과 같이 여길 수 없었다. 나의 〈뜻이〉 아니다. 저 몇몇의 〈뜻〉이었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3 |
門人이 厚葬之한대
문인이 그를 후하게 장례 치르자,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2 |
顔淵이 死어늘 門人이 欲厚葬之한대 子曰 不可하니라
안연이 죽자, 문인이 그를 후하게 장례를 치르고자 하였다. 공자가 말하였다. “안된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2 |
子曰 才不才에 亦各言其子也니 鯉也死어늘 有棺而無椁호니 吾不徒行하여 以爲之椁은 以吾從大夫之後라 不可徒行也일새니라
공자가 말하였다. “재주가 있건 재주가 없건 역시 각각 제 아들이라 말한다네. 리(鯉)가 죽었을 때 관(棺)은 있고 곽(槨)은 없었는데, 내가 도보로 걸으면서 아들에게 곽을 마련해주지 못한 것은 내가 대부의 뒤를 따르는 〈신분이라〉 걸어 다닐 수 없었기 때문이었네.”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8 |
顔淵이 死커늘 子曰 噫라 天喪予샷다 天喪予샷다
안연(顔淵)이 죽자, 공자가 말하였다. “아!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였구나, 하늘이 나를 망하게 하였구나!”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2 |
顔淵이 死어늘 顔路請子之車하여 以爲之椁한대
안연(顔淵)이 죽자, 안로(顔路)가 공자의 수레를 청하여 아들의 덧널을 만들고자 한데,
|
論語, 先進第十一 2024-12-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