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가능/불능 > 불가/불허 莫能 A A할 수 없다
대표 : 可 A
동의 : AB ; A ; A 得以 B ; A ; 可得 A ; A ; A ; A ; A 可以 B ; A 足用 B ; A 足以 B ; A 不可 B ; A 不能以 B ; A 不足以 B ; A ; 莫能 A ; A ; 不可 A ; 不能 A ; 不得 A ; 不足 A ; 不會 A ; A 不可以 B ; 未可 ; 不可 A ; A 可也 ; A 可矣 ; A ; A 可以 B ; 可得而 A ; 得而 A ; 難得而 A ; 不得而 A ; A ; 須是 A ;
4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操於是出敎한대 唯曰 鷄肋而已라하다 外曹한대 修獨曰 夫鷄肋 食之則無所得이요 棄之則如可惜이니 公歸計決矣라하다 乃令外白稍嚴하니 操於此廻師 <原文故事成語, 努力>  
2 矛盾: 楚人 有鬻盾與矛者 譽之曰 吾盾之堅하여 陷也라하고 又譽其矛曰 吾矛之利하여 於物無不陷也라하니 或曰 以子之矛 陷子之盾이면 何如오하니 其人不能應也 夫不可陷之盾與無不陷之矛 不可同世而立이라 <原文故事成語, 愚鈍>  
내 창의 날카로움으로는 물건 중에 뚫지 못함이 없다.
3 今天下地醜德齊하여 相尙 無他 好臣其所敎而不好臣其所受敎니라 <孟子, 公孫丑下>  
지금 천하의 〈제후들이〉 영토가 비슷하고 덕(德)이 비슷하여 서로 뛰어날 수 없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닙니다. 그 가르칠 사람을 신하로 삼기 좋아하고 그 가르침을 받을 사람을 신하로 삼기 좋아하지 않아서입니다.
4 然而尙幸此書之不泯이라 程夫子兄弟者出하사 得有所考하여 以續夫千載不傳之緖하시고 得有所據하여 以斥夫二家似是之非하시니蓋子思之功 於是爲大 而微程夫子 則亦因其語而得其心也리라 <中庸章句, 中庸章句序>  
그러나 오히려 다행히도 이 책(《중용》)이 없어지지 않았다. 때문에, 정 부자 형제가 〈세상에〉 나와서, 고찰할 것(《중용》)이 있어서 저 천 년간 전해지지 못한 전통을 이을 수 있었고, 근거할 것(《중용》)이 있어서 저 도가(道家)·불가(佛家)의 옳은 것 같은 그름을 배척할 수 있었다. 대체로 자사의 공이 이(《중용》)에서 가장 크다. 그러나, 정 부자가 아니었다면, 또한 그 〈중용의〉 말에 의지하여 그 심법(心法)을 얻을 수 없었을 것이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