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가능/불능 > 가능/허용 得而 A A할 수 있다
대표 : 可 A
동의 : AB ; A ; A 得以 B ; A ; 可得 A ; A ; A ; A ; A 可以 B ; A 足用 B ; A 足以 B ; A 不可 B ; A 不能以 B ; A 不足以 B ; A ; 莫能 A ; A ; 不可 A ; 不能 A ; 不得 A ; 不足 A ; 不會 A ; A 不可以 B ; 未可 ; 不可 A ; A 可也 ; A 可矣 ; A ; A 可以 B ; 可得而 A ; 得而 A ; 難得而 A ; 不得而 A ; A ; 須是 A ;
5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公曰 善哉 信如君不君 臣不臣 父不父 子不子 雖有粟이나食諸 <四書독해첩경, 論語>  
경공이 말하였다. “좋은 〈말입〉니다! 진실로 만일 임금이 임금답지 못하며, 신하가 신하답지 못하며, 아버지가 아버지답지 못하며, 아들이 아들답지 못하다면, 비록 곡식이 있다 한들 내가 〈어찌〉 먹을 수 있겠습니까?”
2 子曰 聖人 吾不見之矣어든 得見君子者 斯可矣니라 <論語, 述而第七>  
공자가 말하였다. “성인을 내가 만나볼 수 없거든 군자다운 자라도 볼 수 있으면 괜찮다.
3 子曰 善人 吾不見之矣어든 得見有恒者 斯可矣니라 <論語, 述而第七>  
(생략) 선인을 내가 만나볼 수 없거든 항심(恒心)이 있는 사람이라도 볼 수 있다면 괜찮다.
4 公曰 善哉 信如君不君 臣不臣 父不父 子不子 雖有粟이나食諸 <論語, 顔淵第十二>  
경공이 말하였다. “좋은 〈말입〉니다! 진실로 만일 임금이 임금답지 못하며, 신하가 신하답지 못하며, 아버지가 아버지답지 못하며, 아들이 아들답지 못하다면, 비록 곡식이 있다 한들 내가 〈어찌〉 먹을 수 있겠습니까?”
5 曰 夫舜禁之시리오 夫有所受之也니라 <孟子, 盡心上>  
〈맹자가〉 말하였다. “저 순임금이 어찌 고요를 막을 수 있겠는가? 무릇 〈고요는〉 법의 집행을 전수받은 바가 있다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